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건축
- 비즈니스·경제
- 불연재료
- 주택디자인
- 도시형생활주택 개념 및 유형
- 건축행정 길라잡이
- 도시형생활주택
- 신탁이란?
- 층수
- 화가
- 건축법
- 시공능력
- 어떤집 지을까
- 도시형 생활주택
- 설계
- 건축신고
- 국토교통부
- 방화구획
- OH ChangKON
- 용도변경
- 준불연재료
- 장욱진
- 서울시
- PQ
- 상림건축
- 용도변경 신고
- 어떤집을 지을까
- 창업
- 지하안전영향평가
- 개발행위허가
- Today
- Total
목록준불연재료 (2)
상림건축 디자인그룹
건축물의 내외부 마감재료(불연, 준불연, 난연) ■ 외부 마감재료(불연재료, 준불연재료) ⦁적용대상 1. 상업지역의 2,000m2이상의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동시설 및 위락시설, 공장으로부터 6m이내에 위치한 건축물 2.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및 수련시설 3. 3층 이상 또는 높이 9미터 이상인 건축물 4. 1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필로티 구조로 설치하여 주차장으로 쓰는 건축물 ⦁예외 상업지역에서 그 용도 바닥면적의 합계 2,000m2이상의 제1, 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동시설 및 위락시설, 3층 이상 또는 높이 9미터 이상인 건축물 중 5층 이하이면서 높이 22미터 미만인 건축물의 경우..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5조 ~ 제7조의 규정에 따라 KS F 2271로 시험하여 난연1급․ 2급․ 3급의 성적이 나온 재료를 각각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라 하며, 이를 불연성재료라 합니다. 즉,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는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용어이고, 난연1급, 난연2급, 난연3급은 KS시험에 의한 용어입니다. 불연재료의 분류 분류 해석 난연등급 재료 불연재료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난연 1급 콘크리트 ,석재,벽돌,기와,철강,알루미늄,유리 준불연재료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난연 2급 목모보드,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