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시공능력
- 비즈니스·경제
- 건축행정 길라잡이
- 방화구획
- PQ
- 준불연재료
- 불연재료
- 건축신고
- 도시형생활주택 개념 및 유형
- 신탁이란?
- 도시형 생활주택
- 개발행위허가
- 설계
- 서울시
- 층수
- 주택디자인
- 건축법
- 장욱진
- OH ChangKON
- 상림건축
- 용도변경
- 용도변경 신고
- 건축
- 도시형생활주택
- 어떤집 지을까
- 지하안전영향평가
- 화가
- 창업
- 어떤집을 지을까
- 국토교통부
- Today
- Total
목록건축/어떤집 지을까 (25)
상림건축 디자인그룹
잘가꾸어진 정원은 주거환경을 풍요롭게 합니다. 뜰을 꾸미는것은 주택내부계획과 더블어 생각해야합니다. 주택내부광간의 용도와 기능은 외부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있기 때문입니다. 거실앞뜰에는 아름다운형태로 자라나는 나무와 꽃이 좋고 사생활보호가 필요한 침실앞에는 상록수를 심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계절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여 정원을 꾸미는 것이 좋습니다. 낙엽수와 상록수, 높이 자라는 나무와 낮게 자라는 나무등 수목의 형태와 성질을 살펴야 합니다. 건축주의 취향을 고려해야하며 정원의 구성은 기존의 지형지물을 최대한 활용해야하지만 지나치게 나무를 많이 심으면 답답하게 됩니다. 수목을 식재 할 때는 계절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다. 정원의 식물을 보고 계절이 변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화목류를 중심으..
대지내에 버려지는 공간이 없도록 합니다. 많은 경우, 관계법규에서 허용하는 최대면적에 맞추어 건물을 짓는것이 대지를 효과적을 잘 사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듯합니다.내부는 시간과 정성을 들여서 좋은공간을 구성하여 노력하는데 비해서, 외부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내부는 사용하기 좋은 공간이고, 외부는 사용하기 어렵거나 사용할수 없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듯합니다.(대지내에 무심코 버려지는 곳이 있어서는 안됩니다.) 하지만, 설계하기에 따라서 외부도 내부 못지 않은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고 내부와 외부가 서로 보완해 주면 더 좋은 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 외부공간이 독립된 좋은 공간이 될 수 없다면 내부공간을 보조하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공간의 용도나 특성에 따라서 바닥의 재질이나..
옛것과 새것의 조화 대지에 오래된 건물이나 담장, 수목, 숲, 바위, 구조물 등이 있다면 이것은 분명 새건물 짓는데 방해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예전에는 담장이 방범의 역할도 하고 방풍의 역할도 했겠지만 현재는 맞지 않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런 오래된 것을 무조건 없애고 버리기 보다는 새로운 설계에 적절하게 활용할 수만 있다면 건축을 더욱 빛나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존에 숲이나 수목이 있다면 이것을 가능한 한 살려서 자연과 친화할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방법이 될 것입니다. 옛것과 새것의 조화. 어떤 이는 그 버려지는 것들 속에서 삶을 살아왔고 그 속에 추억이 있습니다. 그 추억을 되살리는 것도 필요합니다. 호주의 건축가 Raffaello Rosselli는 낡고 부식된 양철로 ..
대지의 특징 파악 주택에는 대지가 있어야 합니다. 대지의 조건과 주변여건에 따라 주거환경은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 대지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지 조건은 자연적 조건과 인위적 조건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자연적 조건 View와 조망(prospect), 일조(sunlight), 통풍, 지반조건과 부지의 형태(직사각형이 좋으며 장단비는 1:1.5가 이상적), 구배(급경사가 아닌 1/10이하가 적당합니다.)가 있습니다. 인위적 조건 대지진입도로의 조건, 옆대지의 현황 주변의 위험물저장소, 비행장, 간선도로, 학교에 인접한 대지는 위험, 소음, 진동이 많아서 생활에 적합하지 않으며 도서관, 의료시설, 공원등의 시설에 가까운 곳이 좋습니다. 대지조건을 분석하여 대지의 특징을 파악합니다. 자연의 혜택..
사진에 보이는 심플한 구조의 이동식 주택은 3단접이식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양측면을 펼치는 형태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길이는 4미터 높이는 2미터 입니다. 개폐는 전자동식으로 이루우지며 불과 몇초만에 주거공간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1996년 로테르담 디자인에서 공공주택부문 수상을 한 바 있습니다. 출처 : http://blog.naver.com/PostList.nhn?blogId=inovis
개요①철골구조의접합방식으로는강접합방식을사용하는데리벳접합, (고력)볼트접합, 용접접합방식이있다.②용접과볼트접합은서로장단점을갖고있어, 공장에서는용접접합을현장에서는볼트접합을주로사용한다. 힘의전달방식에의한접합분류①롤러접합 : 수직방향의힘만지지, 수평과회전은자유로운교량등에사용②힌지(핀)접합 : 수직·수평방향의힘을지지, 회전만자유. 큰보와작은보접합에많이이용 (전단접합이라고도함)③강접합 : 수직·수평방향이힘을지지함과동시에회전에저항하는접합. 기둥과보의접합에많이이용 (모멘트접합이라고하며, 리벳, 볼트용접접합이여기에해당) 리벳(Rivet)접합1) 정의①가열한리벳을양판재의구멍에끼우고압력을이용하여열간타격으로접합하는방식②리벳은 900~1,000℃로가열한것을사용, 600℃ 이하로냉각된것은사용불가2) 리벳의종류 3) 불량리벳①헐거..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 포치, 파티오??? 1. 발코니(balcony) 우리나라 건축법에서 용어를 정의하고 있는것은 발코니뿐입니다.베란다와 테라스등은 건축법에서 사용하는 정식용어가 아닙니다. 우리나라 건축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발코니란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완충공간으로서 전망이나 휴식등의 목적으로 건축물 외벽에 접하여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공간을 말합니다.이경우 주택에 설치되는 발코니로서 국토교통부 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발코니는 필요에따라 거실.침실.창고등의 용도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건축법 시행령 제2조14항)"로 정의되어 있습니다.발코니란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여야 하며 건축물 외벽에 접하여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내부와 내부 또는 외부와 외..
André Parent Cultural Center / Olivier Werner Architecte Architects: Olivier Werner ArchitecteLocation: Anzin, FranceProject Manager: Franz BourgeoisArea: 749 sqmPhotographs: Courtesy of Olivier Werner Architecte Some places have a stronger symbolical potential than others: the plot where the new city equipment was built is one of them. The new cultural center stands at the entrance of the city,..
건축물 신축시 에너지관련 인증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 분 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 인정제도 건축물에너지절약 설계기준 친환경주택 설계기준 신재생에너지이용 건축물인증 관련근거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17조 /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관한규칙.2013 건축법시행령 91조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칙 62조 /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주택 신재생에너지이용 건축물 인증에 관한규정 운영부처 국토교통부, 산업통상 자원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에너지관리공단 인증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토지주택연구원 한국시설안전관리공단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심의 (지차제 의뢰시) 건기원,LH공사,에너지 관리공단 (지차제 의뢰시) 한국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인증구분 예비인증(설계) /인증(준공)공공(의무) ..